존슨앤드존슨 6% 급등에 쇼피파이·블랙스톤 강세…주요 기업 실적 호조

오늘의 시장 전반 개요

2025년 7월 16일 미국 증시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S&P 500 지수는 6,263.70(+0.32%), NASDAQ 지수는 20,730.49(+0.26%), 다우존스 지수는 44,254.78(+0.53%)로 마감했습니다.

특히 존슨앤드존슨의 6% 급등을 비롯해 쇼피파이와 블랙스톤 등 주요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5,696.21(-0.39%)로 소폭 하락했으며, VIX 지수는 17.16(-1.27%)로 하락해 시장 안정성을 나타냈습니다.

주요 변동 종목 분석

존슨앤드존슨 (JNJ) – 6.19% 급등

존슨앤드존슨 주가는 164.78달러로 6.19% 급등하며 시가총액 3,96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급등은 2분기 실적 발표와 2025년 전망 상향 조정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회사는 2분기 실적에서 강력한 암 치료제 다잘렉스(Darzalex) 수요에 힘입어 예상을 상회하는 수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연간 매출 전망을 약 20억 달러 상향 조정하며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회사는 관세 비용 전망을 절반으로 줄였다고 발표하며, CFO는 “관세의 점진적 도입이 실제로는 좋은 소식”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쇼피파이 (SHOP) – 4.30% 상승

쇼피파이 주가는 120.00달러로 4.30% 상승하며 시가총액 1,557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회사는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일정을 8월 6일로 공지하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1분기 실적에서 GMV(거래총액)가 2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맹점 증가와 Shop Pay 등 도구 채택이 강력한 플랫폼 모멘텀을 견인했다고 분석됩니다. 애널리스트들의 업데이트와 전략적 파트너십 소식도 주가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블랙스톤 (BX) – 3.83% 상승

블랙스톤 주가는 165.92달러로 3.83% 상승하며 시가총액 2,01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회사는 펜실베니아의 디지털 및 에너지 인프라 강화를 위해 25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AI 기업 CoreWeave와 함께 31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CoreWeave 주가는 8.3% 급등했습니다. 이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줍니다.

테슬라 (TSLA) – 3.50% 상승

테슬라 주가는 321.67달러로 3.50% 상승하며 시가총액 1조 36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2분기 배송량 감소가 확인되면서 2025년 배송량 전망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캐나다 EV 시장에서의 어려움과 관세, 가격 인상, CEO 일론 머스크에 대한 정치적 반발 등이 추가적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중국 시장을 위한 모델 Y 6인승 버전 준비 소식은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됩니다.

블랙록 (BLK) – 3.45% 상승

블랙록 주가는 1,082.24달러로 3.45% 상승하며 시가총액 1,769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회사는 운용자산(AUM) 12.53조 달러라는 사상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520억 달러 규모의 고객 자금 인출이 강력한 2분기 실적에 부담을 주면서 일부 실적이 기대치를 하회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자산 관리 성과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요 지수 및 종목 동향

S&P 500 지수

S&P 500 지수는 6,263.70으로 0.32% 상승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실적 호조와 경제 지표 개선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NASDAQ 지수

NASDAQ 지수는 20,730.49로 0.26% 상승했습니다. 기술주 전반의 안정적인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AI 관련 투자 확대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 지수는 44,254.78로 0.53% 상승했습니다. 존슨앤드존슨의 급등이 지수 상승을 견인했으며, 전통적인 대형주들의 안정적인 성과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대형주

엔비디아는 171.37달러로 0.39% 소폭 상승했습니다. 시가총액 4조 1,814억 달러를 유지하며 여전히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중국 무역 전쟁 완화와 H20 칩 금지 해제 소식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505.62달러로 0.04% 소폭 하락했으며, 시가총액 3조 7,580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4분기 실적 발표를 2주 앞두고 있으며, AI와 클라우드 수익이 핵심 관전 포인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애플은 210.16달러로 0.50% 상승했으며, 시가총액 3조 1,389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MP Materials와의 5억 달러 규모 희토류 광물 공급 계약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마존은 223.19달러로 1.40% 하락했으며, 시가총액 2조 3,69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프라임 데이 기간 중 관세 혼란 대응과 재고 조기 확보 움직임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메타는 702.91달러로 1.05% 하락했으며, 시가총액 1조 7,673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AI 격차 해소에 대한 기대감 속에서도 단기 조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요 규제, 기업 동향, 기술 개발

트럼프 대통령의 900억 달러 규모 에너지 및 AI 투자 발표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블랙스톤과 CoreWeave의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진출 확대 소식도 중요한 변화입니다. H20 칩 금지 해제 후 CEO 젠슨 황이 중국에 고급 칩 판매 의지를 표명했으며, 이는 엔비디아의 실적 전망에 10% 상향 조정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애플의 미국 투자 확대도 주목할 만합니다. MP Materials와의 희토류 광물 공급 계약은 공급망 다변화와 국내 투자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요약 및 투자 유의 사항

오늘 미국 증시는 주요 기업들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상승했습니다. 특히 존슨앤드존슨의 6% 급등이 시장을 견인했으며, 쇼피파이, 블랙스톤, 테슬라, 블랙록 등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AI 인프라 투자 확대중국 시장 진출 기회 확대 등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기술주의 조정관세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개별 기업의 실적 발표 일정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쇼피파이의 8월 6일 실적 발표와 마이크로소프트의 4분기 실적 발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변동성이 매우 크며,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본 글은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